[손길신의 철길 따라 26화] 해저(海底)터널의 철도
[하비엔=편집국] 최근 뉴스에 등장한 해저터널이야기가 예전 철도박물관 근무시절 한일해저터널관련 상설 전시관 설치 협의차 방문했던 일본인 ‘일한턴넬연구회’ 사무국 차장 일행과 이야기를 나누었던 옛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기억에 남은 ...
[인사] 쿠팡, 백수하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사장 영입
◇ 신규 영입백수하 커뮤니케이션 담당 부사장백수하 부사장은 서울신문과 YTN, 문화일보 등에서 기자로 근무했으며, 이후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기획조정실 상무, 삼성전자 커뮤니케이션팀 상무로 재직했다. 쿠팡 입사 직전에는 차병원/바이오그룹 ...
[칼럼:신재창의 시(詩)로 떠나는 길] ‘눈 내리거나 꽃 지는 날’
[하비엔=편집국] 날이 춥다. 이 정도 추위는 정말 오랜만이다. 코로나로 경제마저 얼어붙은 이 겨울의 체감온도는 시베리아의 그것과 다르지 않은 듯하다. 어릴 때 한 시간을 걸어야 닿는 학교에 다녔다. 유치원부터 매일 꼬박 두 시간을 ...
[손길신의 철길 따라 25화] 전쟁과 호국의지 드높았던 철도원
[하비엔=편집국]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고 알아주는 사람 없는데도 맡은 일을 열심히 해야 하는 사람이 전쟁터의 철도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너나없이 집도 버리고, 가족과 함께 피난길을 나섰을 때, 지금이 ...
[법률 칼럼] 주의가 필요한 기획부동산 사기
[하비엔=편집국] 최근 청계산에 위치한 한 임야 필지의 소유자가 4,800여명에 달한다는 보도가 있었다. 33개의 기획부동산 법인이 땅을 매입하여 지분을 쪼개고 쪼개어 사람들에게 판 것이다. 이 사건에서 기획부동산 법인들은 평균적으로 ...
[손길신의 철길 따라 24화] 6.25전쟁과 철도교량
[하비엔=편집국] 철도교량은 전쟁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지만 적군의 사용을 저지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파괴되기도 한다. 6.25전쟁 중 아군과 적군에 의해 파괴되었던 교량의 이야기를 정리해본다. 한강에는 1900년 준공된 철교A와 191 ...
[법률 칼럼] 층간소음 문제에 관하여
[하비엔=편집국]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거주 형태가 많아지면서 층간소음으로 인한 갈등이 많아지고 있다. 얼마 전 한 방송인 가족의 층간소음 문제가 이슈화된 것도, 층간소음으로 인한 고통은 공동주택에서 살다 보면 한 번씩은 경험하 ...
[손길신의 철길 따라 23화 ] 사고가 많았던 미군정기(美軍政期)의 철도
[하비엔=편집국] ‘미 군정기’는 1945년 8월15일 일제 패망 후 미군 제24군단이 통치시작 후 1948년 8월15일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기까지로 공식적인 명칭은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군정청(United States Army Mil ...
[법률 칼럼] 새해에 달라지는 검경수사권
[하비엔=편집국] 길고 길었던 검경 수사권 조정의 결실이 새해부터 시행이 된다. 수사권 조정을 둘러싼 검찰과 경찰의 마찰이 상당했음에도, 정작 그 시행이 코앞으로 다가온 것은 생각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이용구 법무부 차관의 택 ...
[손길신의 철길 따라 22화 ] 구 안동역 이야기
[하비엔=편집국] 지난 12월10일 익산~대야 간 전철개통에 이어 12월17일 중앙선 영주~안동 간 전철개통에 따른 선로이전으로 보물 제182호 국가지정문화재 임청각(臨淸閣) 복원계획이 추진된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이에 철도와 ...
[법률 칼럼] 코로나19와 개인파산
[하비엔=편집국]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올해 봄 한 계절이면 끝날 거라 생각했다. 하지만 지금까지도 그 기세가 여전하다. 전염병이라는 것이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는 사람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만 막을 수 있다 보니, 사람들의 ...
[손길신의 철길 따라 21화 ] 경춘철도 이야기
[하비엔=편집국] 우리철도 역사를 살펴보면 사설철도로 시작된 노선의 역사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아 많은 오류가 따르게 되며 경춘선의 경우 부분적인 보도 자료를 오해하여 엉뚱한 결론을 도출한 예로 ‘1천만 원의 대회사가 일본 내지(內地 ...
[법률 칼럼] 부동산 매매계약의 해제
[하비엔=편집국] 요즘 사람들을 만나면, 부동산은 빠지지 않는 화두 중 하나이다. 누구 집값이 몇 개월 만에 얼마가 올랐느니 하는 얘기도 자주 들려오고, 언론에서도 임대차3법, 재산세, 공공임대, 전세난, 종합부동산세, 대출제한 등 ...
[손길신의 철길 따라 ⑳] 협궤철도 이야기
[하비엔=편집국] 우리나라 철도선로는 1,435㎜의 표준궤간과 762㎜의 협궤궤간이 있었으며, 1067㎜의 궤간은 호남선 학교역과 함평읍내 구간을 운행했던 함평궤도와 서울, 부산에서 운행되었던 전차는 철도 아닌 궤도로 분류되어, 협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