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①] 이준익 감독 "'자산어보' 속 철목어, 유일한 허구"

노이슬 / 기사승인 : 2021-04-21 08:00:18
  • -
  • +
  • 인쇄

[하비엔=노이슬 기자] '역덕' 이준익 감독이 또 한번 역덕 관객들을 설레게 한다. 이 감독의 열 네번째 영화 <자산어보>는 <동주>에 이은 두번째 흑백영화다. 단조로울 수 있지만, 모든 장면이 수묵화같다. 덕분에 인물들이 더욱 돋보인다.

 

21일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 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영화 <자산어보>는 이날까지 30만 관객을 돌파하며 코로나19 여파에도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 <왕의 남자>, <사도>, <동주>, <박열> 등 끊임없이 역사 속 인물을 재조명해온 이준익 감독은 <자산어보>를 통해 정약전(설경구)이라는 조선후기 학자를 조명하며 그의 제자 창대(변요한)를 재창조했다. 

 

 

"정약전이 그 아픈 순간 왜 유배 가서 [자산어보]라는 책을 썼는지 궁금했다. 동생인 정약용(류승룡)이 쓴 [목민심서]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궁금했다. 정약전이 한 것은 격물치지(格物致知)로, 쉽게 말해 사물에 이름을 부여하고 격을 부여한 것이다. 가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 가치와 쓰임새를 써놓은 것이 [자산어보]다.

 

실제 약전이 '밤송이새라고 창대가 말하였다'라고 창대를 언급해서 적시한 것은 개인의 존재를 인정한다는 것이다. 사대부 선비가 어부가 한 말을 굳이 썼다. 약전은 수평사회를 지향한다. 임금도 없는 사회말이다."

 

이 감독은 전문가에 자문을 구하며 끊임없이 고증을 위해 노력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산어보>에는 딱 하나의 허구가 있단다. 극 중 정약전이 흑산도에서 가장 먼저 이름을 지어준 철목어(짱뚱어)다.

 

"영화적 선택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짱뚱어는 흑산도에 없다. 뻘에 살기 때문에. 전문가들이 고증에 어긋난다고 지적했었다. 영화적으로 쉽게 메시지를 전달하기엔 짱뚱어가 제일 좋았다. 이름을 짓는다는 것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에. 그래서 고증에 어긋나지만 영화적인 선택으로 관객을 위해서 쓰겠다 했다."

 

 

철목어 대사로 정약전이 [자산어보]를 쓰게 된 배경을 설명했다면, 창대를 통해서는 '사람노릇'이라는 메시지를 넣고자 했다. 또한 가거댁의 '씨와 밭' 대사로는 여성의 독립성을 얘기했다.

 

"그 시대는 신분사회였다. 계급의식이라는 것이 있다. 창대의 개인성이 어디로 향하는지가 욕망의 본질이다. 그건 환경에서 자신이 선택하는 것이다. 이과의 토대가 많지만 문과를 가고 싶은 것이다. 약전과 약용 사이에서 선명하게 드러내주는 기능으로 상대가치다. 영웅주의. 영웅을 미화하는 것. 그 안에는 진실보다는 사실을 근거로 위장하는 것이다.  그 영웅을 똑바로 보려면 비교되는 존재를 그려주면 된다.

 

가거댁의 대사는 정약용 기록에 대목이 있다. 실제 초등학생들 만화책에 인용한 것을 봤다. 유배를 가다가 나주 주막에서 주막 주인이 "씨만 중한 줄 아쇼, 밭이 좋아야지"라고 했다.  200년 전에도 어떤 할머니가 정약용 앞에서 그런 주장을 했었던 것이다. 이 시대의 단면을 표현해주는 방식이다. 


'애절양시(哀絶陽時, 생식기를 자르다)'도 정약용이 쓴 시를 그대로 장면화 한 것이다. [목민심서]에 그런 대목에 장면을 창대가 체험할 수 있게 했다. 그런 것들이 사극에서 특정 장면을 사용할 때는 시대의 맥락을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왜곡과 날조가 있는데 이건 '내곡'이다. 본래에 있는 것을 틀어주는 것이다. "

 

이준익 감독이 역사속 인물을 재조명하는 방식은 여느 '역사극'과는 차이가 있다. 이 감독은 개인을 통해 사회를 들여다보게 한다. <동주>에서 송몽규를, <박열>에서 후미코를, 그리고 <자산어보>에서 창대를 조명했다.

 

"'역덕'이라는 말이 좋기도 하지만 부담스럽기도 하다. 자칫 잘못하면 <박열>에서는 고증을 그렇게 열심히 했는데 자만해서 대충 하면 내 영화에 내가 발목을 잡힌다. 그래서 자막에 정확한 워딩을 넣었다. 실제 [자산어보] 본문에 창대와 가거댁(이정은)이 명시돼 있고, 창대가 말한 그대로가 적혀있다. 정약용의 가슴아픈 시 역시 그렇다. 모든 삶을 넣을 수는 없다."


또 <자산어보>는 <동주>에 이은 흑백영화다. 이 감독은 "로케이션의 장점을 살려야 한다 싶었다. 컬러면 인물이 안 산다. 예를 들어 우리 영화에서 창대가 뛰어가는 모면 색이 없으니 점만 보인다. 근데 그 안에 약전의 감정이 보인다. 흑백만이 구현해낼 수 있는 수묵담채화 느낌이다. 칼라였다면 그런 느낌이 안났을 것이다"고 설명했다.

 

특정 장르를 구분짓지 않지만 이 감독은 사극의 매력을 "우리의 공통의 역사"로 꼽았다. "우리의 역사다. 공통체 의식을 포커싱하는데 역사가 우월한 지점에 있다. 고증이나 관점의 평가가 가혹한 것이다. 

장르적인 욕심은 없다. 자신의 작품 세계를 위해서 그 틀안에서만 영화를 찍는 사람이 아니다. 갑자기 <변산>을 촬영하지 않았나, 다음 영화를 이전 영화의 결과가 말해준다. <변산>의 실패가 보약이라서 <자산어보>를 한 것이다. 실패는 좋은 보약이다. 굴곡 없고 질곡 없는 삶은 시시하다(하하). "

인터뷰 ②에서 계속...

 

사진=메가박스 중앙 플러스엠

 

[저작권자ⓒ 하비엔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