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길신의 철길 따라 26화] 해저(海底)터널의 철도
[하비엔=편집국] 최근 뉴스에 등장한 해저터널이야기가 예전 철도박물관 근무시절 한일해저터널관련 상설 전시관 설치 협의차 방문했던 일본인 ‘일한턴넬연구회’ 사무국 차장 일행과 이야기를 나누었던 옛 기억을 떠올리게 했다. 기억에 남은 ...
[손길신의 철길 따라 25화] 전쟁과 호국의지 드높았던 철도원
[하비엔=편집국]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고 알아주는 사람 없는데도 맡은 일을 열심히 해야 하는 사람이 전쟁터의 철도원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6.25전쟁이 발발하자 너나없이 집도 버리고, 가족과 함께 피난길을 나섰을 때, 지금이 ...
[손길신의 철길 따라 22화 ] 구 안동역 이야기
[하비엔=편집국] 지난 12월10일 익산~대야 간 전철개통에 이어 12월17일 중앙선 영주~안동 간 전철개통에 따른 선로이전으로 보물 제182호 국가지정문화재 임청각(臨淸閣) 복원계획이 추진된다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이에 철도와 ...
[손길신의 철길 따라 21화 ] 경춘철도 이야기
[하비엔=편집국] 우리철도 역사를 살펴보면 사설철도로 시작된 노선의 역사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아 많은 오류가 따르게 되며 경춘선의 경우 부분적인 보도 자료를 오해하여 엉뚱한 결론을 도출한 예로 ‘1천만 원의 대회사가 일본 내지(內地 ...
[손길신의 철길 따라 ⑳] 협궤철도 이야기
[하비엔=편집국] 우리나라 철도선로는 1,435㎜의 표준궤간과 762㎜의 협궤궤간이 있었으며, 1067㎜의 궤간은 호남선 학교역과 함평읍내 구간을 운행했던 함평궤도와 서울, 부산에서 운행되었던 전차는 철도 아닌 궤도로 분류되어, 협궤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⑲] 한반도 국경의 철교(鐵橋)
[하비엔=편집국] 한반도 북부 국경에는 두만강과 압록강이 흐르고 있으며, 두 개의 강 건너에는 중국과 러시아가 강을 따라 접하고 있고, 이들 나라와의 국경에는 일제강점기부터 6.25전쟁 때까지 여러 개소에 철교가 부설되어 있어 북한과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⑰] 유난히 파업이 잦았던 평원선(平元線) 부설공사
[하비엔=편집국] 1907년 7월 8일 일본헌병대기밀보고서인 ‘헌기 제1384호’(통감부문서 6권)에 당시 경성일보에 ’새로 취임한 소네 아라스케(曾禰荒助)통감이 평원선을 부설할 의향이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에 인천 거류민들이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⑯ ] 전국의 실업자들이 찾았던 만포선 부설공사
[하비엔=편집국] 일제강점기 서민들 생활의 한 단면을 찾아볼 수 있는 현장이 만포선 부설공사장이었다. 전국 각지에서 먹고살기 위해 찾았던 일터였던 만포선 부설의 역사를 더듬어본다.1926년 2월 6일자 동아일보에 의해 북조선 쪽의 임 ...
[손길신의 철길따라⑮ ]국철보다 운임이 배가 비쌌던 경북선
[하비엔=편집국] 1919년 조선철도산업을 계획하고(1919.8.10.매일신보), 1920년 3월 조선산업철도주식회사를 설립(1920.3.2.관보2264호)를 설립한 후 부설승인을 받은 김천~안동 간 철도 부설공사 착공을 1년간 연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⑭] 동해안 남북을 종단하는 동해선 철도
[하비엔=편집국] 조선경편철도주식회사가 부산~울산~경주~대구 및 경주~포항, 울산~장생포 간에 철도(궤간762㎜협궤철도)를 부설할 목적으로 회사를 설립(1915.11.7. 부산일보)하여 1917년 2월 대구에서 공사를 시작, 11월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⑬] 금강산 가던 철길
[하비엔=편집국 ] 1914년 용산~원산 간 경원선이 개통되면서 신문사에서 금강산탐승회원을 모집하기 시작함으로서 철도를 이용한 금강산 관광객이 증가하던 1918년 4월 일본 및 한국과 대만에서 철도건설 사업으로 크게 돈을 번 일본인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⑫] 한반도 종단철도를 이뤄냈던 함경선 이야기
[하비엔=편집국] 1905년 부산~서울 간 경부선, 1906년 서울~신의주 간 경의선 및 1914년 목포~대전 간 호남선과 용산~원산 간 경원선에 이어 1914년부터 1928년까지 장장14년에 걸친 공사로 원산~회령 간 함경선을 개통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⑩ ] 등록문화재 428호 용산철도병원 이야기
[하비엔=하비엔 편집국] 용산철도병원은 본래 1902년 6월16일 일본에서 조직된 의사단체 동인회(同人會)가 1904년부터 조선 진출을 계획한 후 1907년12월 조선의 철도국과 협의하여 용산소재 철도관사를 개조하여 목조 2층의 동인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⑧] 척식(拓殖 : 일본인 이주 정착)을 위해 먼저 부설된 호남선
[하비엔=편집국] 1896년 9월 프랑스 휘브릴사의 그리루가 경성∼목포 간 경목선(京木線)부설권 요구로 시작되어 불허된 후 일본과 영국에서도 철도부설을 요구해 오자, 대한제국정부는 1898년 8월 호남선 관설안(官設案)을 의결하고 프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⑦] 경의철도와 압록강철교 부설
[하비엔=하비엔 ] 1904년 2월 8일 뤼순(旅順)군항 기습공격으로 러일전쟁에 돌입한 일본은 2월21일 경의철도 속성 건설을 위한 임시군용철도감부를 설치하고 철도대대를 편성하여 3월 4일 인천에 상륙하여 3월12일 경의철도 부설관련 ...
[손길신의 철길 따라⑥] 대한제국 경의철도 부설권을 노린 일본의 행태
[하비엔=하비엔 ] 앞에서 대한철도회사에 경의철도 부설허가를 했음에도 진척이 되지 않자 대한제국정부는 철도나 광산 등 이권사업을 외국인에게 넘기지 말아야 된다는 당시의 이권옹호론(利權擁護論)에 따라 내장원 산하에 서북철도국을 설치하고 ...
[손길신의 철길따라④] 대한제국의 두 번째 철도 경부선 부설
[하비엔=하비엔 ]경부철도는 조선왕국 시절인 1892년 4월 우리나라 최초로 철도부설을 논의했던 노선이었다. 하지만 성사되지 못한 노선으로 1894년 체결된 「조일잠정합동조관」을 통해 일본이 욕심을 내어 1896년 4월26일 고무라( ...